혈당과 인지능력, 그럼 케톤은?

오늘 든 잡생각 2017. 12. 11. 05:24

오늘도 이런저런 연구들을 찾아보다 보니.

이런 연구를 찾았다. 


Orquin, J. L., & Kurzban, R. (2016). A meta-analysis of blood glucose effects on human decision making. Psychological Bulletin142(5), 546-567.



혈당과 인간 의사결정의 상관에 대한 메타연구인데, 결론은 "의사결정을 측정한 과제에 따라 다르다" 이다.

뭐 이거야 흔한 결론이고.

관심있게 봤던 부분은, 혈당과 인간 인지능력/행동에 대한 가설들.

이 논문에서는 크게 2가지 범주로 혈당가설을 정리하는데, 하나는 (ㄱ) contraint model이고 다른 하나는 (ㄴ) signal model이다. 

Contraint model 에서는 혈당이 낮아지면, 뇌에 필요한 에너지원 자체가 부족해서 인지기능이 떨어진다고 얘기.

Signal model 에서는 constraint model의 내용을 따라가면서, 저혈당 자체가 유기체로 하여금 음식을 찾고 먹기 행동을 촉진시키는 물질을 분비시키도록 한다는 내용. 즉, 이 물질로 인해 다른 행동 (예, 당장 해야 하는 일)들을 멈추고 음식과 관련된 행동에 자원을 분배시키게 된다는 것.


그런데, 케톤체를 사용하게 되면 어떻게 될까?

개인적으로 궁금한 부분은,

- 혈당 수준의 변화가 인지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와 혈중 케톤 수준의 변화가 미치는 영향의 정도가 다를까.

달리 말하면, 혈중 케톤 수준의 변화는 인지활동 정도에의 영향이 미미한 반면 (지방이라는 에너지원이 계속 접근 가능하기 때문), 혈당 수준의 변화는 음식 섭취에 매우 의존적이기 때문에 인지활동 정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싶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