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진영과 국화꽃향기

오늘 든 잡생각 2009. 9. 3. 17:57
+
약 7-8년 전, 겨울학기 계절학기에 '영화와 예술'에 대한 과목을 수강하였다.
그 때 강의하셨던 담당 교수님이 이 영화와 깊은 관련이 있다.

당시에 국화꽃향기와 비슷한 스토리의 소설들이 대유행이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당시 교수님이 설명해주시기로,
'국화꽃향기' 역시 출판사와 작가가 작정하고 콘텐츠를 많이 생산하기 위한,
소위 돈벌이로 만든 소설이며,
그 일환으로서 영화를 만드는 것은 이미 소설작업 때부터 예정이 되어있었고,
이를 영화화하기 위한 의뢰가 들어왔는데
이런 걸 영화로 만들어야하냐며 약간의 불만을 내비치셨던 것으로 기억한다.

당시 주인공 남녀로서 염두에 두었던 것이
전지현과 조승우였던 것으로 기억한다.
이런 말씀을 해주시며
"굳이 그런 이상한 소설 사서 읽을꺼까진 없고,
알아서들 빌리든지 해서 읽고나서
이를 영화로 만들 때 어떤 점을 넣어야 할까에 대한
자유로운 생각을 보고서로 제출하라"
라는 과제를 내주셨다.

그런 트렌디 소설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 관계로,
그런 책을 사서 보는 게 내키지는 않았지만,
이미 재빠른 학우들은 다들 책을 빌려가버린 터,
한 권 정도는 사서 봤던것 같다.

개인적으로 당시 이 영화가 제작된다면
너무 트렌디 영화가 되어 묻히지 않으려면, 다음의 것을 고려해야할 것이라고 코멘트 했다.
1. 주연인물: 너무 유명한 배우가 아니어야 할 것.
                 여자 주인공으로는 장진영이 제일 적합할 것이라 생각되고,
                 남자 주인공으로는 잘 알려지지 않은 좀 신선한 느낌의 남자배우여야 할 것.
2. 청각을 잘 이용한 영화일 것: 예를 들어 종이가 바스락거린다거나 연필로 쓸 때 들리는
                                           사각거리는 소리가 잘 나는 영화일 것
3. 너무 트렌디한 영화로 간다면 대중들에게 묻힐 것임

뭐 이정도였는데,
반년 정도 후였던가,
장진영이 캐스팅되었다는 소리를 듣고 친구와 호들갑을 떨었던 적이 있다.

그리고 영화는 의외로 너무 트렌디한 느낌은 아니었다.

+
나름의 추억이 있는,
장진영을 예전부터 참 좋아했던 나로서는
그녀의 죽음이 참 안타깝다.
30대 후반을 달리는 몇 안되는 여배우들 중에,
연기를 진지하게 하는 배우들 중 하나였는데.

+
그녀 남편의 순애보는 (일단 표면적으로는)
그녀의 죽음과 국화꽃향기를 오버랩시키며
더욱 안타까움을 자아내고 있다.

참, 잔잔하게 연기를 하다가
훌쩍 떠나버린 안타까운 배우란 생각.
:

로샤카드 공개? 보는 사람 손해-_-;

오늘 든 잡생각 2009. 7. 31. 16:55

+
조선일보.
또 조선일보스러운 기사를 실었다.
아침에 로샤카드가 일반에 공개되었다는 급한 문자를 보았다.

+
로샤검사는,
그 자극의 모호함과 애매성 때문에,
이 검사가 의미가 있다없다 논란이 많아왔지만..
이런 논란 속에서도
많은(진짜 literally '많은') 연구들이 하나하나 체계를 잡아가면서,
현재의 표준화된 검사실시 protocol과 measure가 완성(?)된 것이다.
(사실, 완성.. 이라기 보다는 지금도 진행되고 있기는 하지만)

이런 점이 어떻게 보면,
로샤검사는 심리학의 중요 특성을 품고 있다고 생각되서 흥미롭다.
눈에 보이지 않는 사람의 마음을 들여다보고자
다양한 자극을 만들고, 실험해보고 하면서
그 자극이 인간에게 어떤 의미를 가지며
다양한 집단에서는 그 반응이 어떻게 해석될 수 있는가를 보는 점이 바로 그렇다.

혹자는 로샤검사가,
사람들의 심리상태를 반영하기는 하지만,
결국 자극에 대한 개인의 인지적/지각적 특징에 근거한 것이므로,
RIM(Rorschach Inkblot Method)라고 부르길 권장하기도 한다.
그러니까.. 이 말은 뭐냐면..
솔직히, 로샤검사로 사람 심리를 모두 알 수도 없고,
통계적 결과를 토대로
어떤 'criteria'에 근거하여,
어떤 '집단(병명이 될수도 있고..)'의 대부분의 사람들이 보이는 특성을 가진 개인이
자극에 대한 어떤 '반응'을 하게 된다면,
그것이 그 '집단'에 속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의 '그'자극에 대한 '반응'과 비교했을 때
얼마나 일반적이냐 아니냐로 해석하는 것이다.
헥헥..

암튼, 로샤검사의 해석원리는 아아아주 대충 말하자면 저렇다.
'난 이렇게 봤는데, 난 이상한걸까?'
라고 생각한다면,
절대 그렇지 않다.
아아아아아아아주 대부분 정상이다.
내가 selbsttod versuch를 했을 때도 결과가 정상이었으니. ㅎㅎ

덧붙여, 통계적으로는 반응에 따른 measure에 크게 기여하지는 않지만,
임상현장(이라함은, 폐쇄병동 이런거.. 괜히 읽는사람 오해 없기..)에서는
정말 로샤카드가 얼마나 유용한 도구인지를 알 수 있을꺼라,
많은 선배들이 얘기하더군.

+
뭐랄까.
큰일이다 라는 생각이 들면서도,
사실, 시중에 나와있는 로샤관련 교과서들 들춰보면 얼마든지 그림은 볼 수 있기도 하다.

+
내 개인적인 생각은,
공개된 로샤카드.. 보는 사람만 손해다.
심리검사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꼭 '내 상태가 이상해'라는 사람들을 넘어서서
점차 증가할텐데,
지금 봐서.. 자극에 오염되면, 이후에 인생의 어느 시점에서 심리검사를 하게 될때,
그 검사결과 해석의 신뢰도와 타당도가 떨어지므로
당연히 수검자 손해일 뿐.

+
사실,
지난학기 심리검사에 대한 수업을 듣고,
로샤검사를 과제로 하면서
우리조차도 검사자극에 미리 오염되기 싫어서
과제를 수행하기 전에
주변 지인들에게 부탁하여
서로서로 로샤검사를 한 후에,
비로소 검사를 실시해본다.

:

'야함'에 대한 주관적 역치

오늘 든 잡생각 2009. 7. 21. 13:19
+
출근하여 뉴스를 주욱 훑는데.. 이건 뭐니.

성폭력 "옷차림 야한 여성에도 책임"
노컷뉴스 2009-07-21
http://news.nate.com/view/20090721n03123
(본문중) 대전 지역 대학생들은 이성과의 데이트에서 발생하는 성폭력이 남성의 성충동 때문이며
옷차림이 야한 여성에게도 일부 책임이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sample의 특성과 질문지의 특성에 따라 결과는 매우 달라질꺼라 생각하지만,
아무튼 이건 뭐니 랄까.
(이 설문에서는 성폭력이라는 단어로 매우 broad하게 쓰고 있음)

+
몇 해 전,
성희롱이던가 성폭행 관련 뉴스였나,
여튼 그런 내용의 뉴스 아래의 한 댓글이 머리에서 떠나지 않는다.

"여자들이 옷벗고 다녀도 그러면 안되는거거든요?"

+
한참 영화 '추격자'가 인기몰이를 하면서..
유영철의 잔악함에 대한 이야기가 끊이지 않았던 시절,
한 선배가 성폭행 가해자의 실형기간에 대해 얘기를 해준 적이 있다.

요지는 이렇다.
가십 관련 인터넷 커뮤니티(였나..)에서 교도소 근무자라고 하면서 올렸던 글에 관한 내용인데,
한 남자가,
어떤 가정집에 침입하여
어린 아들이 보는 앞에서 어머니를 성폭행하고,
성폭행 과정에서 아이가 울어대자
아이 입을 칼로 찢고 성폭행을 감행하였다고 한다.
자신의 욕구가 채워진 후, 그 아이에게
'야 라면좀 끓여와라' 라고 하고 끓여 온 라면을 먹었다고 한다.
이런 짓을 저지른 자가 3년여 정도의 실형을 선고받았다고 한다.

겨우 3년이라면서, 그 교도소 근무자란 사람은
성폭행에 대해 이렇게 관대하다.. 라는 말을 남겼다고 기억하는데.

+
'야함'에 대한 인간의 (gender specific) 주관적인 역치.
그거나 좀 제대로 측정하고 얘기를 하자.

덧붙여, 본인은 성폭행 가해자는
1번? 재범? 상관없이
무조건 생물학적/물리적 거세를 해야한다는 입장임.
: